안녕하세요. 눕입니다.

 

제가 그램 노트북 FreeDOS 용을 구입하게 되면서

윈도우즈10 부팅 usb를 만들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시작하기전 필수 준비물은 8GB 이상의 용량이 되는 USB입니다.

 

 

 

1. 윈도우즈10 다운받기

 

우선 윈도우즈10이 먼저 필요하겠죠.

다른 PC에서 우선 윈도우즈10 ISO 파일을 다운받도록 합니다.

 

네이버에서 "윈도우즈10 다운로드" 를 검색하여 이동하거나 혹은 아래의 링크로 이동하도록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용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 해당 파일은 선택한 위치에 로컬로 저장됩니다.컴퓨터에 타사 DVD 굽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치 DVD를 만들려는 경우, 파일이 저장된 위치로 이동하여 ISO 파일을 두 번 클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를 선택하여 선호하는 해당 DVD 굽기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면 프로그램을 열 수 있습니다. Windows 디스크 이미지 버너를 사용하여

www.microsoft.com

 

이동한 링크에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를 클릭하면

MediaCreationTool1903 이라는 18MB정도의 파일이 다운받아집니다.

위의 파일을 실행하도록 합니다.

 

 

 

실행하면 기본적인 로딩이 끝나고 난후 위의 화면이 보입니다.

"동의"버튼을 클릭하여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USB 플래시 드라이브, DVD 또는 ISO 파일) 만들기" 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언어: 한국어, 에디션: Windows10, 아키텍처 : 64비트(x64)

위의 항목처럼 선택후 "다음" 을 클릭합니다.

 

 

 

"ISO 파일" 을 선택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다운받을 폴더는 원하는곳에 지정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가 진행중입니다 기다리면 다운로드가 완료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습니다. 3.8기가 정도의 windows ISO 파일이 다운받아 졌습니다.

"마침"을 클릭하여 다운로드를 종료합니다.

 

 

※ 저는 토렌트와 같은 어둠의 경로 버전이 아닌 정품설치 경로 버전을 기준으로 합니다.

정품인증키는 별도로 구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는 이베이 같은 곳에서 windows10 을 검색하시면 3,000~5,000원 정도의 가격으로 정품키를 판매하기도 합니다.

 

 

2. 부팅 USB 만들기

 

부팅 USB를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팅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저는 rufus(루푸스)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을 추천드리며 다운로드 및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에 "rufus"로 검색 혹은 아래의 링크로 이동합니다.

https://rufus.ie/

 

Rufus

 

rufus.ie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위와 같이 Rufus 3.8 이라는 링크가 보입니다.

용량은 1.1MB로 작습니다.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도록 합니다.

 

 

미리 준비해둔 USB를 PC에 삽입하고 rufus를 실행하면

왼쪽의 이미지와 같이 장치에 USB가 인식되게 됩니다.

 

- 부트선택

"디스트 또는 ISO 이미지 (선택)" 을 선택합니다.

 

- 선택 ▼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화살표 클릭하지말고 글자 클릭하세요)

파일 선택 팝업에서 아까 받아둔 windows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 이미지 옵션

표준 Windows 설치

 

기본적으로 왼쪽의 캡쳐와 같이 선택되어 있겠으나, 같지 않을경우 캡쳐와 같이 항목들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파티션방식, 대상 시스템, 파일시스템 항목은 필수로 캡쳐본과 같아야 합니다.

 

파티션 방식 : GPT

대상 시스템 : UEFI

파일 시스템 : FAT32

 

만약 파일 시스템에 FAT32 항목이 보이지 않는다면 선택하신 ISO파일이 4기가가 넘거나 정식적인 윈도우즈 설치 ISO파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시작버튼을 클릭하면 포멧 USB가 만들어지게 되고 왼쪽의 캡쳐와 같이 완료되면 닫기를 클릭합니다.

 

위 과정을 거치면 포멧 USB만들기가 완성이 됩니다.

 

 

 

 

 

 

 

 

 

 

 

 

 

 

 

 

 

 

 

 

 

 

 

3. 그램 노트북의 BIOS 설정하기

 

3번의 과정은 usb를 노트북에 삽입하고 부팅시 usb인식이 되지 않으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노트북을 켬과 동시에 BIOS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해 "F2"를 연타합니다.

 

BIOS에 제대로 진입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방향키로 Boot탭으로 이동하여 부팅 순서를 USB HDD: 를 가장 위에 올리도록 합니다.

올리는 방법은 항목을 선택하고 +,- 버튼으로 우선순위를 조정합니다.

 

저는 사실 요부분은 잘몰라서 위와같이 USB는 다 위로 올려버렸습니다...

 

정렬이 끝나고나면 "F10"을 눌러 저장후 종료를 합니다.

 

정상적으로 세팅이 되었으면 파란화면과 함께 윈도우즈10 설치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vi명령어 정리용 글

사용하는대로 추가하여 관리할 예정

 

 

 

● 입력모드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축키 모음

i 커서의 왼쪽에 입력
I 행의 맨 앞부분에 입력
a 커서의 오른쪽에 입력
A 행의 맨 끝부분에 입력
o 커서 위에 행을 추가하여 입력
O 커서 아래에 행을 추가하여 입력
s 커서에 있는 글자를 지우고 입력
Esc 키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

 

 

 

● 저장,종료 명령어 ( : )

 

콜론 (:)을 사용하여 저장, 종료 가 가능한 입력키

:w 입력한 내용을 저장
:q vi모드를 종료
:wq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
:q! 입력한 내용이 있지만 저장하지 않고 종료
:wq 파일이름 저장후 종료할때 파일이름을 지정
ZZ :wq 와 동일하게 저장후 종료

 

 

'develop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정리 (CentOS)  (0) 2019.08.27

안녕하세요. 눕입니다.

오늘은 뉴발란스 러닝화 870을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운동화로는 뉴발란스를 많이 선호하는 편입니다.

아디다스, 나이키 등등 유명 스포츠 브랜드의 운동화를 신어봤지만

개인적으로 뉴발란스만큼 저한테 편안한 운동화는 없더군요

 

그래서 기존에도 잘 쓰고 저의 발을 잘 지켜주던 247 이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고생 많았던 저의 247 입니다 흑흑 ㅠㅠ

이젠 좀 쉬고있어 다른형이 내발을 지켜줄거야

 

 

이제 본격적으로 870 리뷰를 하겠습니다.

저는 어제 퇴근 후 바로 홍대 뉴발란스 매장을 방문하였습니다.

 

미리 870을 찜하고 갔던 터라 픽하고 결제하는데 까지는 오랜시간이 걸리지 않았죠.

 

 

뉴발란스 공식홈에 올라와있는 이미지 입니다.

요번엔 별다른 쿠폰없이 공식몰 신규가입 1만원 쿠폰만 사용하여 129,000원에 구입하였습니다.

 

 

심플한 박스. 열기 직전이 가장 기분좋은 법이지요

 

 

저는 남성 모델로 250사이즈를 구매했습니다. 

발도 작고 키도작고 안작은게 없는 나란놈

 

여성 모델은 220~250 까지

남성 모델은 250~290 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아래로는 페이크삭스를 신었을때 찍은 착샷입니다.

어두운 사진 죄송...

 

왼발 바깥쪽 입니다.

 

오른발 안쪽입니다.
오른발 바깥쪽 사진입니다.
오른발 위에서 본 사진입니다.

 

마지막으로 운동용 양말을 신었을때의 사진입니다.

 

어제 착용후 바로 테스트 하러 나갔었죠.

새신발의 버프효과일지도 모르지만 다른날보다 월등히 많이 운동한게 보입니다.

보통은 발에 피로감이 느껴질쯤 복귀를 하는데 기록만 봐도

효과가 확실히 있다는게 보여지는군요.

 

디자인도 예쁘고 효과도 좋고 정말 만족스럽습니다.

리눅스 환경세팅 - 8. node.js 와 mongoDB 설치하기 (https://noobnim.tistory.com/31) 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출처 ) https://suwoni-codelab.com/linux/2017/06/02/Linux-CentOS-git-gitlab/

 

11. 리눅스(CentOS) 개발 놀이터 만들기 - git과 gitlab 설치

리눅스 CentOS에 git 그리고 gitlab을 설치해봅니다.

suwoni-codelab.com

 

1. git 설치하기

 

$ yum -y install http://opensource.wandisco.com/centos/7/git/x86_64/wandisco-git-release-7-1.noarch.rpm

최신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스코드를 컴파일 해서 설치를 할 수도 있으나 업그레이드나 여러가지 불편함이 있기에 Wandisco 사에서 운영하는 repository를 사용하겠습니다.

해당 repository를 사용하기 위하여 아래의 링크를 install 합니다.

 

$ yum -y install git

이어서 git을 설치하도록 합니다

저는 2019년 9월 19일 기준으로 2.22.0 버전이 설치 되었습니다.

 

 

 

2. gitlab 설치하기

 

$ sudo yum install curl policycoreutils openssh-server openssh-clients 
$ sudo systemctl enable sshd 
$ sudo systemctl start sshd 
$ sudo yum install postfix 
$ sudo systemctl enable postfix 
$ sudo systemctl start postfix 
$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 sudo systemctl reload firewalld

위의 내용은 공식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설치해야 할 것들 입니다.

이미 되어 있는 내용도 있으며 지금까지의 과정을 거치면서 설정된 부분도 있습니다.

 

$ curl -sS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rpm.sh | sudo bash
$ sudo yum install gitlab-ce

위의 두 명령으로 gitlab의 설치파일을 다운받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3. gitlab 환경설정

 

$ vi /etc/gitlab/gitlab.rb

위의 명령으로 gitlab 설정파일을 열도록 합니다.

/ (검색) 뒤에 external_url 을 입력하여 external_url 'http://localhost' 부분을 찾고, 내용 뒤에 사용할 포트 를 입력합니다.

external_url 'http://localhost:사용할포트'

기본포트는 8080이나 Tomcat과 충돌하기 때문에 꼭 중복되지 않는 다른 포트로 변경하도록 합니다.

 

다음으로 /'auth_backend' 로 검색하여 gitlab_workhorse['auth_backend'] = "http://localhost:8080" 부분을 찾습니다.

8080포트를 위의 external_url 과 중복되지 않는 포트번호로 변경합니다. 추가로 앞의 # 주석도 제거 해주도록 합니다.

 

다음으로 /'port' 로 검색하여 unicorn['port'] = 8080 부분을 찾도록 합니다.

위의 포트도 마찬가지로 external_url 과 중복되지 않는 다른 포트번호로 변경하고 # 주석을 제거 해주도록 합니다.

 

다음은 필수설정은 아니지만 smtp 메일 부분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smtp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smtp_enable' 로 검색하여 smtp 설정부분으로 이동합니다.

 

gitlab_rails['smtp_enable'] = true 
gitlab_rails['smtp_address'] = "smtp.gmail.com" 
gitlab_rails['smtp_port'] = 587 
gitlab_rails['smtp_user_name'] = "본인의 gmail 주소   xxx@gmail.com" 
gitlab_rails['smtp_password'] = "본인의 gmail 비밀번호" 
gitlab_rails['smtp_domain'] = "smtp.gmail.com" 
gitlab_rails['smtp_authentication'] = "login" 
gitlab_rails['smtp_enable_starttls_auto'] = true 
gitlab_rails['smtp_tls'] = false 
gitlab_rails['smtp_openssl_verify_mode'] = 'peer'

위와같이 수정하도록 합니다.

변경이 완료되었으면 :wq로 저장후 나오도록 합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변경한포트/tcp 
$ firewall-cmd --reload

위의 명령으로 처음에 external_url 부분에서 변경했던 port 번호를 방화벽 해제 하도록 합니다.

 

$ sudo gitlab-ctl reconfigure

위의 명령으로 재실행 하도록 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른 os의 PC에서 http://gitlab이 설정된 url:포트번호

를 입력하여 gitlab에 접속합니다.

 

저는 여기서 현재 막힌상태입니다 ㅠㅠ

 

요런 에러가 떠서 길이 막혔어요 ㅠㅠㅠ

수정되는대로 바로 다시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이거 작성하다가 다날려서 임시 저장해요 ㅠ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