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잭션 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

 

 

■ 트랜잭션의 특징

1.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시 처리되는 논리적인 작업 단위이다.

2.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변환의 작업단위이다.

3.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 되거나 Rollback 되어야 한다.

 

■ 트랜잭션의 성질

- Atomicity (원자성)

1.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던지 아니면 전부 반영되지 말아야 한다.

2.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어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한다면 트랜잭션 전부가 취소되어야 한다.

 

- Consistancy (일관성)

1.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

2.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고정 요소는 트랜잭션 수행 전과 수행 완료 후의 상태가 같아야 한다.

 

- Isolation (톡립성, 격리성)

1.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 실행중에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이 끼어들 수 없다.

2. 수행중인 트랜잭션은 완전히 완료될 때 까지 다른 트랜잭션에서 수행결과를 참조할 수 없다.

 

- Durability (영속성, 지속성)

1. 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 Commit 연산

1. Commit 연산은 한개의 논리적 트랜잭션 단위에 대한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났고 데이터베이스가 일관성 있는 상태가 되었을때, 트랜잭션이 수행한 갱신 연산이 완료되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연산이다.

 

■ Rollback 연산

1. Rollback 연산은 하나의 트랜잭션 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깨트렸을때 트랜잭션의 일부가 정상처리 되었더라도 트랜잭션의 원자성을 구현하기 위해 트랜잭션이 행한 연산을 모두 취소하는 연산이다.

2. Rollback 시에는 해당 트랜잭션을 재시작하거나 폐기한다.

 

■ 트랜잭션의 상태

- Active (활동) : 트랜잭션이 실행중인 상태

- Failed (실패) : 트랜잭션이 수행중 오류가 발생하여 중단된 상태

- Aborted (철회) : 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Rollback 연산을 수행한 상태

- Partially Committed (부분 완료) : 트랜잭션이 마지막 연산까지 수행했지만, Commit 연산이 수행되기 전의 상태

- Committed (완료)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Commit 연산을 수행하고 난 상태

 

 

출처) https://coding-factory.tistory.com/226

'IT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런레벨 간단 정리  (0) 2019.10.14
Ioc/DI 란?  (0) 2019.10.09
Spring Boot 란?  (0) 2019.10.04
JVM 이란?  (0) 2019.09.30
DAO 와 DTO 란?  (0) 2019.09.26

■ Run level 이란?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의 용이함을 위해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눅스의 런레벨은 0~6까지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런레벨은 0, 3, 5, 6 이며, 런레벨의 변경은 root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시스템 종료를 의미합니다. 런레벨을 0으로 변경하는것은 시스템 종료를 의미합니다.

 

# 1 - Single User Mode

시스템 복원모드 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 쉘을 얻게 됩니다.

주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거나 관리자 암호를 변경할때 쓰입니다.

 

# 2 - Multi User Mode

NFS(Network File System) 를 지원하지 않는 다중 사용자 모드입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텍스트 유저 모드라고 보면 됩니다.

 

# 3 - Full Milti User Mode

일반적인 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다중 사용자 모드입니다.

쉽게 말하면 그래픽 유저 모드가 아닌 텍스트 유저 모드 입니다.

 

# 4 - unused

4번은 쓰이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임의로 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5 - X11

기본적으로는 레벨3과 같습니다. 다른점은 그래픽 유저모드 입니다.

 

# 6 - reboot

시스템 재부팅을 의미합니다. 런레벨을 6으로 변경하는것은 시스템 재부팅을 의미합니다.

 

 

시스템적으로 자세한 변경 방법은 원하신다면 하단의 출처를 참고 바랍니다.

 

 

출처) https://kateee.tistory.com/51

'IT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잭션 (Transaction) 이란?  (0) 2019.10.14
Ioc/DI 란?  (0) 2019.10.09
Spring Boot 란?  (0) 2019.10.04
JVM 이란?  (0) 2019.09.30
DAO 와 DTO 란?  (0) 2019.09.26

웹개발 환경 세팅 - 5. 프로젝트에 DB연동하기 with yml (https://noobnim.tistory.com/48) 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웹개발 환경 세팅 - 5. 프로젝트에 DB 연동하기 with yml

웹개발 환경 세팅 - 4. mariaDB 설치, 설치확인하기 (https://noobnim.tistory.com/47?category=847081) 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웹개발 환경 세팅 - 4. mariaDB 설치, 설치확인 하기 웹개발 환경 세팅 - 3. Spring..

noobnim.tistory.com

 

 

MariaDB를 기반으로 한 QueryDSL을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Build.gradle 설정

 

프로젝트의 build.gradle 파일을 열도록 합니다.

 

buildscript {
    ext {
        ...
        querydslPluginVersion = '1.0.10' // 플러그인 버전
    }
    repositories {
        ...
        maven { url "https://plugins.gradle.org/m2/" } // 플러그인 저장소
    }
    dependencies {
        ...
        classpath("gradle.plugin.com.ewerk.gradle.plugins:querydsl-plugin:${querydslPluginVersion}") // querydsl 플러그인 의존성 등록
    }
}

springboot 설정시 세팅했던 buildscript 부분에 위와같이 3개의 항목을 각각 추가합니다.

위의 플러그인이 있어야 QClass 가 생성이 됩니다.

QClass는 Querydsl의 중심이 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dependencies 에 querydsl과 mariadb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도록 합니다.

dependencies {
    ...
    compile("com.querydsl:querydsl-jpa")
    compile("com.querydsl:querydsl-apt")
    ...
}

지난 springboot 설정때 추가했던 dependencies 에 추가로 적용한 부분입니다.

querydsl 이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도록 합니다.

 

 

apply plugin: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 Plugin 적용
def querydslSrcDir = 'src/main/generated' // QClass 생성 위치

querydsl {
    library = "com.querydsl:querydsl-apt"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SrcDir
}

sourceSets {
    main {
        java {
            srcDirs = ['src/main/java', querydslSrcDir]
        }
    }
}

compileQuerydsl{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이제 위에서 설정한 Plugin을 사용할 Task를 추가합니다.

저는 gradle 5버전을 사용하고 있어서 하단에 compileQuerydsl 와 configurations 두 부분을 추가했습니다.

gradle 5버전을 사용하지 않으면 위의 두 부분은 추가가 필요없다고 합니다.

 

 

2. QuerydslConfiguration 생성

 

프로젝트의 src/main/java 경로에 QuerydslConfiguration 를 생성하도록 합니다.

저는 프로젝트 하단에 querydsl 패키지를 별도로 생성하여 추가하였습니다.

 

package com.webhome.querydsl;

import com.querydsl.jpa.impl.JPAQuery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Configuration
public class QuerydslConfiguration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

    @Bean
    public JPAQueryFactory jpaQueryFactory() {
        return new JPAQueryFactory(entityManager);
    }
}

QuerydslConfiguration 의 코드입니다.

추가시 프로젝트의 어느곳에서나 JPAQueryFactory 를 주입받아  querydsl 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3. 테스트를 위한 설정

 

저는 우선적으로 DB에 테스트용 테이블을 생성해둔 상태입니다.

제가 생성한 Member table을 기반으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1) 엔티티 생성

package com.webhome.model;

import javax.persistence.Colum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Id;
import javax.persistence.Table;

@Entity
@Table(name="member")
public class Member {
    @Id
    @Column(name = "ID")
    private Stri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username;

    @Column(name = "AGE")
    private String age;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String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String age) {
        this.age = age;
    }
}

제가 생성한 Member 테이블의 엔티티입니다.

@Entity 어노테이션으로 엔티티임을 명시합니다.

@Table(name="member") 생성한 테이블 명을 입력합니다.

@Id 는 해당 테이블의 키값임을 알리는 표시입니다.

@column 은 Member 테이블의 각 컬럼을 알리는 표시입니다.

 

2) Repository 생성

package com.webhome.repository;

import com.webhome.model.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

테스트용으로 검증할 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3) QClass 생성

Intellij의 우측 사이드에보시면 Gradle 항목이 보입니다.

Gradle > Tasks > other 에 보면 compileQuerydsl 이 보입니다. 더블클릭하여 실행하면

src/main/generated 항목 안에 위에서 생성한 엔티티와 같은 경로로 QClass 파일이 생성됩니다.

 

4) 데이터 추출

 

저는 우선적으로 제대로 연동되는지 만을 확인하기 위하여 RestController에 바로 

Repositor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였습니다.

 

package com.webhome.controller;

import com.webhome.model.Member;
import com.webhome.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util.Lis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private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getClass());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index(){
        List members = memberRepository.findAll();

        return members.get(0).getUsername();
    }
}

위와같이 입력하고나면 이제 설정은 끝났습니다.

서버를 실행하여 localhost에 접속하면

위와같이 테이블에 입력해둔 맴버의 이름이 표시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jojoldu.tistory.com/372

■ JPQL 이란?

 

JPQL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JPA는 기본적인 SQL을 처리해주기 때문에 SQL문을 직접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JPA는 하나의 테이블을 대상으로 했을때만 가능한 이야기이며, 특정 데이터를 가져올 경우가 필요할 때는 불필요하게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게 되는 낭비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라는 쿼리 언어를 사용한다. SQL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가 작성 되지만,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가 작성된다. 

ex) 

List members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ass).getResultList();

 

■ QueryDSL 이란?

 

JPQL의 빌더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이다. 

ex)

QMember qMember = QMember.member;

        Member member = queryFactory.select(qMember)
                .from(qMember)
                .orderBy(qMember.id.asc())
                .fetchFirst();

 

 

출처) https://cornswrold.tistory.com/332

'develop > JPA, Hibern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티티 매니저 등록/수정/삭제/조회 정리  (0) 2019.11.24
엔티티 매니저 설정, 생성과정  (0) 2019.11.24
데이터베이스 방언  (0) 2019.10.19
Hibernate 란?  (0) 2019.09.30
JPA, ORM이란 무엇인가?  (0) 2019.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