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itmemo.tistory.com/238

        https://ganzi-tilong.tistory.com/7

        https://joont.tistory.com/55

 

mod_jk를 알기전에 AJP를 먼저 알아야 할듯 함

 

■ AJP 란?

AJP는 웹서버(Apache) 뒤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웹서버로 들어오늘 요청을 위임할 수 있는 바이너리 프로토콜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핑을 할 수 있는 웹서버의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한다.

 

웹 개발자들은 대체로 AJP를 여러 웹서버로 부터 여러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의 로드 밸런스 구현에 이용한다. 세션들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인스턴스의 이름을 갖는 라우팅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리다이렉트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위한 리버스 프록시로 웹서버는 동작한다.

 

■ mod_jk 란?

아파치, 톰캣 연동을 위해 mod_jk라는 모듈을 사용하는데, 이는 AJ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톰캣과 연동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듈이다. mod_jk는 톰캣의 일부로 배포되지만, 아파치 웹서버에 설치하여야 한다.

 

동작방식

1. 아파치 웹서버의 httpd.conf에 톰캣 연동을 위한 설정을 추가하고 톰캣에서 처리할 요청을 지정한다.

2. 사용자의 브라우저는 아파치 웹서버(보통 포트80)에 접속해 요청한다.

3. 아파치 웹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이 톰캣에서 처리하도록 지정된 요청인지 확인 후, 톰캣에서 처리해야 하는 경우 아파치 웹서버는 톰캣의 AJP포트(보통 8009포트)에 접속해 요청을 전달한다.

4. 톰캣은 아파치 웹서버로부터 요청을 받아 처리한 후, 처리 결과를 아파치 웹서버에 되돌려 준다.

5. 아파치 웹서버는 톰캣으로부터 받은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 Apache와 Tomcat을 연동해야 하는 이유

Tomcat은 WAS 서버이지만 Web 서버의 기능도 갖추고 있는 WAS 서버입니다.

그러나 톰캣의 Web 서버 기능은 아파치보다 느린 속도처리를 보였고, 이로 인해 정적인 페이지는 Apache가 처리하고, 동적인 페이지를 Tomcat이 처리함으로써 부하를 분산하는 이유에서 Apache와 Tomcat을 연동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옛날 얘기이고.. 지금은 Tomcat이 많이 발전해 Tomcat 내의 Web 서버가 아파치에 절대 뒤쳐지지

않을만큼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Apache와 Tomcat을 연동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아파치 내에서만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라던가 아파치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모듈들을 톰캣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IT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SQL 이란?  (0) 2019.09.17
node.js 란 무엇인가  (0) 2019.09.14
spring MVC 와 DispatcherServlet 의 정의  (0) 2019.09.14
front end와 back end의 정의  (0) 2019.09.13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 란?  (0) 2019.09.13

리눅스 환경 세팅 - 5. CentOS MariaDB 서버용 설치, 외부접속 허용 (https://noobnim.tistory.com/14) 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출처) https://suwoni-codelab.com/linux/2017/05/27/Linux-CentOS-Apache/

 

07. 리눅스(CentOS) 개발 놀이터 만들기 - Apache 웹서버 설치

리눅스 CentOS에 Apache를 설치해봅니다.

suwoni-codelab.com

 

 

1. Apache 설치여부 확인

$ yum list installed | grep httpd

위의 명령으로 Apache 웹서버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위처럼 설치 목록이 뜨지 않는다면 새로 설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저는 설치가 되어있지 않으므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2. Apache 웹서버 설치하기

$ yum install -y httpd

위의 명령으로 httpd 를 설치 해줍니다.

Complete! 메세지로 설치 완료됨을 확인하고

다시 1번의 명령을 입력하면 위의 캡쳐 이미지처럼 httpd가 설치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경로는 /etc/httpd 입니다.

 

주요 디렉토리 설명

  • conf : 웹 서버의 주요 설정 파일인 httpd.conf, MIME 형식을 지정하기 위한 파일인 magic 파일이 있는 곳
  • conf.d : 아파치의 주요설정을 분리 해서 저장 하는 곳, httpd.conf 설정내용을 분리하여 이곳에 저장하면, httpd.conf 파일에서 불러와서 사용하게 됩니다. httpd.conf 파일 맨 마지막에 ‘IncludeOptional conf.d/*.conf’ 구문이 있습니다.
  • logs : 로그파일이 저장 되는 디렉토리
  • modules : 아파치 모듈 설치디렉토리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s 
$ firewall-cmd --reload

위의 명령으로 http, https 를 방화벽 설정한 후 리로드 해줍니다.

 

$ systemctl enable httpd

부팅시 실행 되도록 활성화 시킵니다.

 

$ systemctl start httpd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 netstat - lnpt | grep httpd

위의 명령으로 httpd가 정상적으로 listen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tcp6      0      0 :::80      :::*      LISTEN      ****/httpd

위의 항목이 보인다면 80포트로 listen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Apache 설정 확인하기

$ cat /etc/httpd/conf/httpd.conf | grep -E "^DocumentRoot | DirectoryIndex"

위의 명령으로 설정 내용을 확인합니다.

DocumentRoot "/var/www/html"

DirectoryIndex index.html

 

$ echo ‘connection test’ > /var/www/html/index.html

테스트를 위하여 표시된 경로에 index.html 파일을 생성합니다.

 

 

http://***.***.***.*** (자신의 웹서버 ip) 를 입력하여 'connection test' 가 잘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이상으로 apache 웹서버 구축이 완료되었습니다.

+ Recent posts